본문 바로가기
경매 공매 스터디

부동산 임장 방법 및 체크리스트

by ss511 2024. 12. 7.

부동산 임장은 부동산 거래 시 가장 중요한 절차입니다. 매물상태와 주변 환경을 직접 확인하는 과정이며 가치에 대한 판단을 확인해 주는 작업입니다. 효과적 임장을 위한 임장 방법 및 체크리스트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 

 

1. 부동산 임장 단계별 체크리스트

 

1) 사전 준비

 

- 네이버 부동산이나 지역 부동산 카페에서 해당 지역/아파트 정보 수집
- 호갱노노, 아실 등 부동산 앱에서 실거래가와 거주민 후기 확인
- 현재 거래 중인 매물의 호가와 조건 파악

2) 현장 방문 절차

부동산 중개사무소 방문
- 주변 중개사무소 선택 방문 ( 매수자 입장 또는 경매투자자 입장으로 문의) 
- 해당 지역과 아파트에 대한 브리핑 요청 (주변 시세 및 수익률 체크) 
- 관심 있는 매물 1-2개 방문 요청

매물 확인 시
- 구조와 수리 필요 여부 체크 (옥상 방수 상태 체크) 
- 전망과 일조량 확인
- 소장님의 설명을 휴대폰에 메모

- 우편함 체크, 계량기체크 

3) 체크리스트 핵심 항목

내부 시설
- 천장과 벽면의 누수 흔적
- 붙박이장, 싱크대, 세면대 상태
- 배수관 상태와 악취 여부
- 난방 시스템과 온수 상태

외부 환경
- 주차장 시설과 차단기 설치 여부
- 지하주차장에서 엘리베이터 연결성
- 경비실과 보안 시스템

생활 편의성
- 대중교통 접근성
- 직장까지의 출퇴근 시간
- 주변 상권과 편의시설



 

 

2. 부동산 임장 지역 선정 핵심 요소

 

1) 교통 인프라

 

- 지하철역, 버스 정류장과의 거리 및 접근성
- 주요 도로와의 연결성
- 출퇴근 시간대 교통 상황

2) 생활 편의시설

 

- 대형마트, 병원, 은행 등 필수 시설의 근접성
- 공원, 레저시설 등 여가시설 현황
- 상권 발달 정도와 상점 특성

 

3) 개발 가능성 분석

호재 요인
- 최소 3가지 이상의 개발호재가 겹치는 지역 선별
- 도로 확장, 공공시설 신설 등 인프라 개선 계획 확인
- 혐오시설 이전 여부 검토

경제성 검토
- 지역 내 부동산 시세 및 거래 동향 파악
- 임대 수요와 수익률 분석
- 향후 가격 상승 가능성 평가

4) 주거 환경 평가

교육 환경
- 학군 현황 및 교육시설 접근성
- 학원가 형성 
- 도서관 등 교육 인프라 확인

안전성과 쾌적성
- 치안 상태와 범죄율 확인
- 소음, 악취 등 환경적 요소 점검
- 주변 주민 구성과 커뮤니티 분위기



 

 

3. 부동산 임장 지리적 위치 분석 방법

 

1) 지도 분석

 

- 네이버, 다음, 카카오맵을 활용하여 전체적인 위치와 주변 환경 파악
- 지적도와 지형도를 통해 토지 용도(주거/상업/공업지역) 확인
- 위성뷰를 통해 실제 현장 상황 사전 점검

 

 

주변 인프라 거리재기

 

 

 

 

지적도 확인법

 

 

2)교통 인프라 분석


- IC와의 거리 및 소요시간 측정
- 진입 가능한 모든 도로 상황 파악
- 대중교통 접근성과 주요 도로와의 연결성 확인

3) 생활 편의시설 조사


- 대형마트, 편의점, 은행, 병원 등 주요 시설 위치 파악
- 학교, 학원가 등 교육시설 분포도 확인
- 문화시설, 공공기관 등의 위치 확인

4) 지역 특성 분석


- 주변 혐오시설(축사, 화학공장 등) 유무 확인
- 고압선, 묘지 등 개발 제한 요소 점검
- 주변 개발계획 및 호재 요인 조사